등각류 사육 시작한지 약 한달.. 양쥐 데어리카우는 그냥 폭발해버렸다. 사진상에서 제일큰 녀석 제외하고는 나머지 전부 유체에서 자란 친구들.. 20마리로 시작했는데 100마리를 아주 가볍게 넘어가버렸다. 바닥재 속에 저거의 거의 3배가 넘는 유체들이 더있다..
게스트로이도 많이 불어났다. 카우와 거의 동시에 유체가 나타났는데 성장 상태를 보면 카우보다는 싸이클이 훨씬 느린 걸 알 수 있다. 얘들은 버로우를 거의 안하는데.. 등각 사육의 목적이 단순 사육장 청소 뿐만이아니라 관상 + 사냥용(할지는 모르겠지만 외국포럼에서는 한다고 하더라...)을 겸하는데 청소/번식싸이클/관상/사냥용 모두 조화를 이루고 있는 애들이다.
솔직히 등각 키우면 다 숨어있어서 억지로 들춰보지 않으면 내가 이걸 키우고있는게 맞나라는 생각을 하게되는데 얘들은 다 눈에 보이는데 있어서 그런것도 없다. 제일 맘에드는 종
몬테들도 유체가 제법 불었다.. 하지만 여태 키워본 결과 몬테가 가장 실망스러웠는데.. 가장 화려하지만 카우보다도 더 예민해서 억지로 들추지 않으면 애초에 얼굴을 볼수도 없고... 먹성도 가장 낮아 청소용으로도 적합하지 않으면서.. 은근히 빨라서 사냥용으로도 안 맞고... 번식속도가 아주 느린데다가 번식 자체도 쉽지 않은 종이라서 사육장에 투입하려면 상당한 시간이 걸린다는 점.. 등등... 몬테는 단독사육에 보다 특화된 종 같다.
애초에 목적 자체가 사육장 투입용이었던지라.. 사육장 투입시의 장단점을 비교해봤다.
데어리 카우
- 청소용도 - 10/10 (엄청난 먹성 / 개체수가 워낙 많아 그래보일수도 있음)
- 사냥용도 - 4/10 (속도가 너무 빠르고 대부분 은신해있음 / 갑각이 부드럽고, 몸을 말지 못함)
- 관상용도 - 3/10 (숨어있어서 거의 안 보임 / 생긴건 귀여움)
- 폭번을 제어할 수 있는가? - NO (유체도 1~2개월이면 번식가능사이즈가 됨)
-> 한국 서식종으로써 온도 및 습도조절이 전혀 필요없음 / 상당한 과밀에도 폐사가 거의 없음
게스트로이
- 청소용도 - 7/10 (카우보다는 먹성이 딸리는 편)
- 사냥용도 - 6/10 (속도가 느릿느릿하고 경계심이 적음 / 버로우를 거의 안함 / 공벌레라서 몸을 말 수 있음)
- 관상용도 - 8/10 (무늬가 상당히 화려하고, 눈에 보이는곳에 있는 경우가 많음)
- 폭번을 제어할 수 있는가? - YES (성장 및 번식싸이클이 적당함, 약 6개월(바닥재 교체주기) 안에 제어 불가능할 만큼 늘어나지는 않을것으로 보임)
-> 유체가 아주 특출나게 강하다고 함 / 10도 내외에서 겨울을 날 정도로 적응력이 강한 편
몬테네그로
- 청소용도 - 1/10 (가장많은 개체수로 시작했음에도 먹성이 가장 안좋음)
- 사냥용도 - 1/10 (공벌레임에도 굉장히 빠름 / 몸을 말 수 있음 / 거의 항상 은신해있음)
- 관상용도 - 5/10 (무늬가 가장 화려하지만, 가장 예민해서 애초에 보기가 힘듬)
- 폭번을 제어할 수 있는가? - YES (애초에 폭번을 시킨적조차 없다)
-> 온습도에 다른 2종보다 훨씬 예민할 것으로 보임
카우는 이미 사육장에 투입하고도 한참남을 만큼 개체수가 늘었지만... 폭발해버릴까봐 무서워서 못 넣고 있다.
왠만한 식물들도 전부 죽여먹는 내 사육장 환경이라면 괜찮을 것 같기도 한데... 게스 개체수가 늘어날 때 까지 고민을 좀 해봐야겠다.
'등각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등각류 방출 (0) | 2022.09.22 |
---|---|
몬테 / 게스 / 카우 출산~ (0) | 2021.06.11 |
2021.05.04 게스트로이 입양 (0) | 2021.05.04 |
2021.04.27 등각류 사육 시작 (0) | 2021.04.29 |